2012. 1. 30. 20:38ㆍ행복한 지식/건강상식
영국 데일리메일은 ‘아침 식사를 하는 편이 다이어트에 이롭다’, ‘무조건 과일은 많이, 탄산음료는 적게 먹으라’ 등 널리 알려진 건강 정보의 ‘이면(裏面)’을 보여주거나 또는 아예 기존 정보와 상반되는 연구 결과를 모아 3일(현지시각) 소개했다.
영국 킹스칼리지 런던 치과 연구소가 ‘정기적으로 사과를 먹은 사람’과 ‘정기적으로 탄산음료를 먹은 사람’ 등 1000명의 남녀를 대상으로 치아의 상아질 손상도를 측정했다.
탄산음료 한 캔에 들어 있는 당분의 양은 티스푼 8개 분량, 사과 한 개에는 약 4티스푼 분량의 당분이 들어 있다.
그러나 측정 결과에서는 정기적으로 사과를 먹은 사람은 치아의 상아질 손상이 3.7배나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. 연구진은 이러한 결과에 대해 “음료를 마시는 것보다 사과를 먹는 시간이 더 걸리기 때문에 사과 쪽이 치아 손상도 더 심할 수 있다”고 분석했다.
또 사과 조각은 이 사이에 끼어 양치질이나 치실로 없애기 전에는 계속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. 따라서 사과를 먹은 뒤에는 즉시 물을 마시거나, 산을 중화시키는 칼슘이 있는 우유나 치즈와 함께 먹는 것이 좋다고 신문은 조언했다.
영양학 저널에 실린 독일인 400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아침에 얼마나 먹었는지에 상관없이 점심과 저녁에 비슷한 양을 먹었다고 한다. 체중을 줄이려 한다면 잠에서 깨어난 직후부터 다이어트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음식을 골라 먹어야 한다는 것이다.
이스트앵글리아 대학교와 런던 킹스칼리지 연구팀이 50대 중반의 폐경 이후 쌍둥이 여성 1000쌍을 대상으로 자매가 서로 다른 술을 선택해 하루에 한 잔씩 매일 마시게 했다. 그 결과 하루에 와인 한 잔을 마시는 사람들이 가장 높은 골밀도를 보였다. 이는 포도 껍질에 있는 항산화제인 폴리페놀 때문이라는 분석.
레드와인은 제조 과정에서 포도 껍질을 벗기지 않아 화이트와인보다 효과가 더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. 맥주와 독주는 뼈의 밀도와 별다른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.
미국의 한 의료진이 10년에 걸쳐 5만1000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연구한 결과에 따르면, 하루에 커피를 4잔 이상 마시는 여성들은 우울증에 걸릴 가능성이 20%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. 또 2~3잔을 마시는 경우에도 우울증 발병 가능성이 15%까지 낮아졌다. 이러한 연구 결과는 미국 의사협회 저널에도 실렸다.
이는 커피에 든 카페인이 사람을 나른하게 만드는 뇌 속 물질 ‘아데노신’의 활동을 방해하기 때문이다. 커피는 카페인 함량이 많아 초콜릿이나 차보다 우울증을 예방하는 효과가 훨씬 크다.
콜레스테롤 문제 때문이라면, 달걀은 하루 3개까지 먹어도 큰 문제가 없다. 요즘은 암탉에게 골분 사료를 먹이지 않기 때문에, 과거보다 콜레스테롤이 많지 않다는 게 그 이유. 콜레스테롤의 하루 권장량은 대략 300mg이지만, 중간 크기 달걀 한 알에는 100mg의 콜레스테롤이 들어 있다.
데일리메일은 “영국 식품기준청에 따르면 의사가 특별히 줄이라고 하지 않는 한 양을 제한할 필요는 없다. 달걀을 먹는다고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아진다는 증거도 없다”고 설명했다.
요즘 생산되는 계란은 10년 전보다 콜레스테롤은 13% 적고 비타민 D는 64% 더 많이 함유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도 있었다. 그러나 최근에는 지나친 계란 섭취가 전립선암 발병 가능성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기도 했다.
최근 유럽 8개국 30만 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, ‘과일과 채소를 하루에 한 번씩 더 먹을 때마다 심장병 예방 효과가 높아진다’는 결론이 내려졌다. 과일과 채소를 하루에 8번 먹는 사람은 3번 먹을 때보다 심장병으로 인한 사망 가능성이 22%까지 낮아졌다는 것이다.
출처: 신한카드 With U
'행복한 지식 > 건강상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음식]┃간장의 종류와 음식별 사용법 (0) | 2012.02.09 |
---|---|
[건강]┃고구마의 효능과 올바른 섭취법 (0) | 2012.01.30 |
[건강]┃혈액이 좋아지는 3가지, 나빠지는 3가지 (0) | 2011.10.05 |
[건강]┃몸에 기름기 빼고 건강하게 사는 법 (0) | 2011.10.03 |
[건강]┃10가지 만성질환자의 운동처방법 (0) | 2011.10.03 |